국제 유가가 가파르게 반등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이 다음달 원유 생산량을 대폭 줄일 것으로 예고됐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세를 그리던 유가가 다시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가 급락하자 사우디·러 '역대급' 감산 카드…다시 100弗 넘나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원유(WTI) 11월물은 전장보다 2.89달러(3.45%) 오른 86.5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2거래일간 8.8% 올랐다. 브렌트유(12월물)도 이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3.31% 오른 91.80달러에 거래됐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지난 3월 국제 유가는 사상 최고치인 배럴당 147달러까지 뛰었다. 그러나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와 달러 강세로 7월 배럴당 100달러 선이 깨졌다. Fed가 3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은 지난달에는 1월 이후 처음으로 80달러 선으로 밀렸다.
전문가들은 OPEC+가 5일 열리는 회의에서 국제 유가를 지탱하기 위해 대규모 원유 감산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루 원유 생산량을 100만 배럴에서 최대 200만 배럴 줄이는 방안이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OPEC+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의 협의체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대규모 감산이 현실화하면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유가 하락 대응나선 OPEC+…최대 200만배럴 감산 검토
선거 앞둔 美 바이든 행정부, OPEC+에 반대 의견 전달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비(非)OPEC 산유국 협의체인 OPEC+가 대규모 원유 감산 카드를 꺼낸 건 국제 유가가 맥을 못 추고 있어서다. 지난 6월 배럴당 120달러를 넘었던 서부텍사스원유(WTI)는 3개월 만인 지난달 배럴당 76달러대로 37% 추락했다. 브렌트유도 82달러 선으로 OPEC이 선호하는 가격대(90~100달러)를 밑돌고 있다. 서방이 오는 12월 도입하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 등 다른 변수도 적지 않다.
○역대급 감산 결정 나오나
OPEC+는 5일 정례회의에서 다음달 원유 생산량을 결정한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OPEC+ 회원국은 원유 생산량을 하루 200만 배럴 줄이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세계 원유 공급량의 2% 수준이다. 애초 전망됐던 50만~150만 배럴에서 규모가 확 커졌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5~6월 하루 970만 배럴을 감산한 이후 최대 규모가 될 가능성이 있다.
외신에 따르면 OPEC+의 두 주축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감산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 사우디가 러시아 편을 들어준다는 평가도 나온다. 러시아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의 제재에 맞서 에너지 공급을 줄이고 있다. 국제 유가가 상승하면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러시아에 유리하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보좌관을 지낸 밥 맥널리 라피던에너지그룹 회장은 "OPEC+ 산유국은 서방 국가들이 도입하려는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가 나중에 다른 국가들에도 적용될 것을 염려한다"고 말했다.
OPEC+ 결정과 별개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생산량을 추가로 줄일 가능성도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RBC캐피털마켓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자체적으로 생산량을 줄여 OPEC+의 감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는 OPEC+의 감산 전망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국제 유가가 오르면 바이든 행정부가 업적으로 선전하는 자국 내 휘발유 가격 안정세가 깨질 수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OPCE+ 회원국들에 "원유 감산은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가격상한제 등 변수 많아
월스트리트에서는 OPEC+의 대규모 감산이 확정되면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다시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와 겨울철 에너지난 등 변수도 적지 않다. 벤 해리스 미 재무부 차관보는 4일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12월 5일부터 러시아산 원유와 관련 제품에 단계적으로 가격상한제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격상한제는 3단계로 각각 러시아산 원유와 경유, 나프타 등 석유화학 제품에 적용된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 재무부가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를 도입하면 신흥국과 50개 저소득 국가에서 연간 1600억달러의 원유 수입 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과 인도 등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나라가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가격상한제를 도입하면 원유를 팔지 않겠다고 러시아가 엄포를 놓고 있어서다. 세계 3대 원유 생산국인 러시아가 공급을 줄이면 국제 유가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FT에 "국제 유가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사실 세계 원유 시장은 공급이 부족한 상태"라며 "중국이 장기간 지속한 코로나19 규제를 완화하면 글로벌 원유 비축량이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