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국시간 3일 새벽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 4연속 자이언트스텝을 밟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그 이후의 금리 인상 폭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다이앤 스웡크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과열된) 경제를 식히려는 것이지 꽝꽝 얼어붙은 상태로 만들려고 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번 회의에서 연준은 (금리 인상을) 조정하는 데 대해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연준 선임 고문인 엘런 미드 듀크대 경제학과 교수는 "0.5%포인트(인상)는 빠르고, 0.75%포인트는 더 빠른 것이다"라며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미드 교수는 12월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기에 자연스러운 시기이며,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논쟁이 최종 금리 수준을 얼마로 할지라는 더 중요한 논쟁을 모호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다음 달에도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기는 힘들다는 관측도 나온다.
올해 초 연준은 물가 상승률이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반대로 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더 가팔랐기 때문이다.
도이체방크, UBS, 크레디트스위스, 노무라증권 등의 애널리스트들은 연준이 이번 주 금리를 0.75%포인트 올린 후 다음 달에도 같은 규모의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매슈 루제티 도이체방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만약 물가 상승률이 계속 예상보다 높다면 최고 금리에 더 빨리 도달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연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해야 한다는 요구는 잘못됐다"며 "연준이 지금 방침을 고수하고 이후 상황을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연준의 금리 인상이 고용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978년 험프리-호킨스 법 제정을 통해 확립된 연준의 물가 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임무를 물가 상승이 가파른 시기에는 달성하기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과거 사례를 보면 1981년에는 미국 물가 상승률이 11.4%였고 실업률은 7.4%였는데 당시 금리를 대폭 인상해 물가를 잡은 폴 볼커 전 연준 의장은 "단기적으로 실업률 목표인 4%를 달성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실업률이 그 이듬해 말에는 11%까지 올라 대공황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볼커가 1987년 8월에 사임할 때까지 그의 취임 당시인 1979년 8월의 6% 수준으로 다시 낮아지지 않았다.
제롬 파월 현 연준 의장도 지난 9월 기자간담회에서 "최대 고용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물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물가 안정 회복이 필수적"이라고 말한 바 있다. 파월 의장은 현재 노동 시장이 과열돼 있고 임금 상승률이 높아서 물가가 코로나19 유행 전의 낮은 수준으로 돌아가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같은 연준의 접근 방식이 잘못됐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셰러드 브라운 미국 상원의원(민주·오하이오)은 지난달 파월 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기준금리 인상이 고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매사추세츠) 상원의원도 금리 인상이 고용에 미칠 영향을 경고했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 재임 당시 특별 고문을 맡았던 앤드루 레빈 다트머스 대학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의 물가 상승이 강력한 노동 시장에 기반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준이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