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지난달 3000억 감소
고금리·부동산 부진 등 영향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9년 만에 줄었다. 신용대출은 역대 최장인 15개월 연속 감소했다. 고금리와 부동산시장 침체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2003년 '신용카드 대란' 여파로 2004~2005년 가계 빚이 줄어든 이후 18년 만에 처음으로 가계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월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3000억원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이 줄어든 것은 2014년 1월 이후 처음이다. 전세자금대출이 2조5000억원 줄어든 영향이 크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 매매와 집단대출 관련 자금 수요가 증가했지만 전세자금대출 감소폭이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감소로 전환했다"며 "대출금리 상승과 전셋값 하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2조4000억원 줄었다. 2021년 12월 이후 15개월 연속 감소세다. 이에 따라 은행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1050조7000억원으로 한 달 새 2조7000억원 줄었다. 은행의 가계대출은 지난해 9월 이후 12월을 제외하면 모두 쪼그라들었다. 한은은 "완만한 디레버리징이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상형 한은 부총재보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난해부터 둔화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부동산시장 위축이 디레버리징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높아진 금리 수준과 주택 가격 하락 기대, 주택경기 순환 주기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주택 가격은 추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최근 매매·전세 가격의 동반 하락이 주택경기 둔화와 디레버리징 심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은행 주담대 9년 만에 감소…카드대란 이후 첫 '부채 축소'
가계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본격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용대출이 15개월 연속 감소한 데 이어 주택담보대출마저 9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다. 고금리에 부동산시장 침체가 맞물리면서 가계가 '빚 다이어트'에 나서거나 혹은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경제 '뇌관', 가계부채
한은은 9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자금 조달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가계부채가 감소하고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장기간 누증된 금융 불균형 위험이 완화하는 모습"이라며 "장기간 상승해 온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완만히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이미 GDP를 넘어섰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5.4%였다. 스위스(128.9%) 호주(113.6%)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영국(84.5%) 미국(75.2%) 일본(67.9%) 독일(55.7%) 등 다른 선진국보다 높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10.4%포인트 확대(2019년 4분기~2022년 3분기)됐다. 2020년 이후 주택가격이 폭등한 데 따른 것이다. 이 기간 일본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5.4%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다. 미국(-0.1%포인트) 호주(-5.5%포인트)는 이 비율이 감소했다.
○올해 들어 주택담보대출 감소
대다수 국가에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등락을 거듭했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디레버리징을 겪었다.
한국은 예외였다. 2003년 신용카드 대란 여파로 2004년 3분기~2005년 1분기 가계부채 비율이 줄어든 이후 한번도 디레버리징을 겪지 않았다. 주택 수요가 꾸준히 뒷받침된 영향이 컸다. 그 결과 부채 위험이 커졌다. 가계부채가 경제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뇌관'이 된 것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가계부채가 중장기적으로 상당한 위험 요인"이라며 "디레버리징을 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감소세를 보이긴 했다. 한은이 2021년 8월부터 기준금리 인상 행진을 시작하면서다. 하지만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작년에도 꾸준히 늘었다. 그러다 올 2월 주택담보대출이 전월 대비 3000억원 감소했다. 9년 만의 감소다. 대출금리 인상에 부동산시장마저 얼어붙은 결과다. 2021년 3월 10만2000건이 넘었던 주택거래 건수는 지난 1월 2만6000건으로 4분의 1토막 났다. 여기에 전세 수요가 위축되면서 이른바 '갭투자' 유인이 줄어들었고, 전세자금대출 잔액도 축소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경기가 변수
디레버리징 지속 여부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는 부동산 경기가 꼽힌다. 한은은 "주택 가격은 지난해 중반 이후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면서 조정 국면에 진입했지만 여전히 소득, 사용가치 등과 괴리가 있다"며 올해 부동산 가격의 추가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주택가격이 조정되면서 디레버리징이 함께 진행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관측이다.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 다시 가계빚이 늘 수도 있다. 홍경식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디레버리징의 지속 여부는 향후 부동산 경기에 대한 가계주체의 행태에 달렸다"고 했다.
조미현/임도원 기자 mwise@hankyung.com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