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내년 경제성장률이 2.8%에 그쳐 3%대를 밑돌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또한 내년 기준금리는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인 1.25%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우선 내년 국내 경제가 코로나 여건이 개선되면서 내수 회복이 확대돼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 관련 정책 지원 축소와 수출 경기 둔화로 경제성장 모멘텀은 약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2.8%에 그쳐 올해 3.9%(추정)의 성장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의 경우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소비 상향과 해외여행의 점진적 재개로 3.3%(올해 3.1% 추정)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의 경우 주요국의 경기고점 통과 가능성,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내년 증가율은 2.0%(올해 22.2% 추정)로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방역조치 완화로 내수 중심의 양호한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재정·통화 등 코로나 대응책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년 기준금리의 경우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 영향으로 올해 4분기, 내년 3분기에 추가 인상돼 내년에는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인 1.25%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중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김수정 수석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국내 정책당국의 의지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가 부상할 수 있어 금리 상승세가 가파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염두해 둬야 한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도 상승 압력이 이어져 내년 4분기 평균 환율이 올해 4분기(1,170원)보다 소폭 뛴 1,180원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연구소는 내년 전망과 관련해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 가능성, 중국의 패러다임 전환 및 규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누증 및 금융불균형 우려 등을 주요 리스크로 꼽았다.
특히 국내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파급효과와 정책 딜레마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가계부채 증가가 가계소비에 부정적이고 주택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 이후 그 영향력이 확대됐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대응은 시의적절하나 자칫 급격한 디레버리징(부채 줄이기)을 촉발하거나 가계 부담 증가로 정책 정상화가 어렵게 될 위험도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전민정 기자 jmj@wowtv.co.kr
또한 내년 기준금리는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인 1.25%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소는 우선 내년 국내 경제가 코로나 여건이 개선되면서 내수 회복이 확대돼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 관련 정책 지원 축소와 수출 경기 둔화로 경제성장 모멘텀은 약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2.8%에 그쳐 올해 3.9%(추정)의 성장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의 경우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소비 상향과 해외여행의 점진적 재개로 3.3%(올해 3.1% 추정)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의 경우 주요국의 경기고점 통과 가능성,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내년 증가율은 2.0%(올해 22.2% 추정)로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방역조치 완화로 내수 중심의 양호한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재정·통화 등 코로나 대응책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내년 기준금리의 경우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 영향으로 올해 4분기, 내년 3분기에 추가 인상돼 내년에는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인 1.25%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중금리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김수정 수석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국내 정책당국의 의지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가 부상할 수 있어 금리 상승세가 가파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염두해 둬야 한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도 상승 압력이 이어져 내년 4분기 평균 환율이 올해 4분기(1,170원)보다 소폭 뛴 1,180원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연구소는 내년 전망과 관련해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 가능성, 중국의 패러다임 전환 및 규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누증 및 금융불균형 우려 등을 주요 리스크로 꼽았다.
특히 국내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파급효과와 정책 딜레마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가계부채 증가가 가계소비에 부정적이고 주택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 이후 그 영향력이 확대됐다"며 "정부의 가계부채 대응은 시의적절하나 자칫 급격한 디레버리징(부채 줄이기)을 촉발하거나 가계 부담 증가로 정책 정상화가 어렵게 될 위험도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전민정 기자 jmj@wowtv.co.kr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