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스페이스코인, 첫 인공위성 발사 성공

이준형 기자
공유하기
  • 스페이스코인은 첫 인공위성 발사 성공으로 블록체인 기반 5G 인터넷 구축의 첫 걸음을 뗐다고 밝혔다.
  • 이 회사는 CTC-0 등 저궤도 위성을 활용해 저비용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스페이스코인은 신흥국가와 협력해 8억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구상이라고 말했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인터넷 프로젝트 '스페이스코인'이 첫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스페이스코인은 저궤도 인공위성 'CTC-0'이 지난 21일 오후 8시 34분 발사됐다고 23일 밝혔다. CTC-0은 스페이스코인의 첫번째 인공위성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의 로켓 '팔콘 9'을 통해 발사됐다.

CTC-0은 블록체인 기반 5G 인터넷 구축을 위한 위성이다. CTC-0 등 저궤도 위성을 활용하면 지상에 고가의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터넷 소외 지역에 월 1~2달러의 비용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스페이스코인 측의 설명이다.

스페이스코인은 내년에도 추가적으로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이번에 발사된 CTC-0은 향후 발사될 위성과 함께 테스트를 거쳐 상업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도, 나이지리아 등 신흥국가의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해 약 8억 명의 인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게 스페이스코인 측의 구상이다.

한편 스페이스코인은 세계 최초로 탈중앙화 인터넷을 구축하기 위한 디핀(DePIN) 프로젝트다. 저궤도위성(LEO)과 5G 비지상파 네트워크(5G NTN) 기술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직접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

스튜어트 가드너 스페이스코인 CEO는 "이번 CTC-0의 성공적 발사는 탈중앙화된 자유로운 인터넷을 구축하겠다는 우리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한 중요한 첫 걸음"이라며 "모두가 소유하고 통제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을 구축하겠다는 더 큰 목표를 현실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벤트
publisher img

이준형 기자holderBadgeholderBadge dark

gilson@bloomingbit.io블루밍비트 이준형 기자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