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뉴욕증시, 美정국 혼선·기술기업 규제 우려…나스닥, 1.25% 하락 마감
블루밍비트 뉴스룸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 정국의 불확실성과 기술 기업 규제 우려 등으로 하락했다.
11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9.28포인트(0.29%) 하락한 31,008.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5.07포인트(0.66%) 내린 3,799.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5.54포인트(1.25%) 떨어진 13,036.43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추가 부양책 논의 등 미 정치권 동향, 향후 통화정책 전망 등을 주시했다.
조 바이든 차기 행정부가 대대적인 재정 부양책을 단행할 것이란 기대로 주요 지수는 지난주 일제히 사상 최고치로 급등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14일 '수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 윤곽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해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를 부추겼다.
하지만 최근 주가 급등으로 레벨 부담도 커졌다.
미 정치권의 혼선이 여전한 점도 이날 투자 심리를 압박했다.
민주당은 임기가 며칠 남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발의했다.
이번 주 하원에서 탄핵안 표결을 강행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이 권력 구도에 변화를 촉발할 만한 요인은 아니지만, 민주당과 공화당의 마찰이 심해질 경우 차기 정부가 추진하는 부양책이 원만하게 처리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주 발생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의회 점거 사태가 대형 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관련 기업 주가를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을 통해 지지자의 과격 행동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트위터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 중단하는 등 조처를 했지만, 민주당 정부가 출범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에 대한 규제를 서두를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이날 트위터 주가는 6.4% 넘게 미끄러졌다.
페이스북 주가도 4%가량 급락했다.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 금리가 꾸준하게 상승하며 1.1% 선 위로 올라선 점도 투자자들을 다소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금리의 빠른 상승과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를 두고도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연준 내부에서도 이르면 올해 말에 테이퍼링 등 긴축이 시작될 수 있다는 언급이 꾸준히 나온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강력한 경제 회복을 기본 전망으로 삼고 있다며 올해 테이퍼링 아이디어에 대해 열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회복이 빠를 경우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당면한 미국의 경제 및 보건 상황이 불안하다는 점도 불안 요인이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고용은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의 여파가 나타났다.
존스홉킨스대학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9천만 명도 넘어서는 등 전염병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다.
미국에서는 입원 환자 수가 13만 명 안팎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날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1.76% 하락하며 불안했다.
기술주도 0.94% 내렸다.
반면 에너지는 1.62%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부진했다.
콘퍼런스보드 지난해 12월 미국의 고용추세지수(ETI)가 99.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상향 조정된 지난해 11월 수치 99.05에서 소폭 하락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과열된 측면도 있는 만큼 조정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밀러 타박의 매트 멀레이 수석 시장 전략가는 "지난 몇 달간의 강세 이후 현 수준의 증시에서 명백하게 더 신중해지고 있다"면서 "지난해 3월 저점 이후 랠리의 대부분은 이제 지나간 일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1분기 중 언젠가는 조정이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1.69% 상승한 24.08을 기록했다.
11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9.28포인트(0.29%) 하락한 31,008.6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5.07포인트(0.66%) 내린 3,799.6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65.54포인트(1.25%) 떨어진 13,036.43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추가 부양책 논의 등 미 정치권 동향, 향후 통화정책 전망 등을 주시했다.
조 바이든 차기 행정부가 대대적인 재정 부양책을 단행할 것이란 기대로 주요 지수는 지난주 일제히 사상 최고치로 급등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오는 14일 '수조 달러' 규모의 부양책 윤곽을 내놓을 것이라고 예고해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를 부추겼다.
하지만 최근 주가 급등으로 레벨 부담도 커졌다.
미 정치권의 혼선이 여전한 점도 이날 투자 심리를 압박했다.
민주당은 임기가 며칠 남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발의했다.
이번 주 하원에서 탄핵안 표결을 강행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이 권력 구도에 변화를 촉발할 만한 요인은 아니지만, 민주당과 공화당의 마찰이 심해질 경우 차기 정부가 추진하는 부양책이 원만하게 처리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주 발생한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의 의회 점거 사태가 대형 기술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를 촉발할 수 있다는 전망도 관련 기업 주가를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윗을 통해 지지자의 과격 행동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트위터가 트럼프 대통령의 계정을 영구 중단하는 등 조처를 했지만, 민주당 정부가 출범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에 대한 규제를 서두를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이날 트위터 주가는 6.4% 넘게 미끄러졌다.
페이스북 주가도 4%가량 급락했다.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 금리가 꾸준하게 상승하며 1.1% 선 위로 올라선 점도 투자자들을 다소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금리의 빠른 상승과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를 두고도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연준 내부에서도 이르면 올해 말에 테이퍼링 등 긴축이 시작될 수 있다는 언급이 꾸준히 나온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강력한 경제 회복을 기본 전망으로 삼고 있다며 올해 테이퍼링 아이디어에 대해 열려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회복이 빠를 경우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당면한 미국의 경제 및 보건 상황이 불안하다는 점도 불안 요인이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고용은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의 여파가 나타났다.
존스홉킨스대학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9천만 명도 넘어서는 등 전염병 상황은 여전히 심각하다.
미국에서는 입원 환자 수가 13만 명 안팎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날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1.76% 하락하며 불안했다.
기술주도 0.94% 내렸다.
반면 에너지는 1.62%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부진했다.
콘퍼런스보드 지난해 12월 미국의 고용추세지수(ETI)가 99.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상향 조정된 지난해 11월 수치 99.05에서 소폭 하락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과열된 측면도 있는 만큼 조정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밀러 타박의 매트 멀레이 수석 시장 전략가는 "지난 몇 달간의 강세 이후 현 수준의 증시에서 명백하게 더 신중해지고 있다"면서 "지난해 3월 저점 이후 랠리의 대부분은 이제 지나간 일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1분기 중 언젠가는 조정이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1.69% 상승한 24.08을 기록했다.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