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고점 찍은 기준금리…증권가 "내년 1분기 인하"

기사출처
블루밍비트 뉴스룸
공유하기


<앵커>


이번 금통위 결과와 관련해서 경제부 김보미 기자와 조금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 기자. 시장에서 예상한 대로 3번 연속 금리 동결이 나왔습니다.


이번에 금통위원 2명이 바뀌었는데 결과에 큰 변화는 없었네요.


<기자>


네. '만장일치 동결'로 결론이 났습니다.


이번 금통위에서는 박춘섭, 장용성 위원이 새로 합류했는데요.


당초 시장에서는 두 위원이 각각 기재부와 정부의 경제자문기구 출신이라는 점에서, 비둘기파 성향일 것으로 추측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는 비록 금리는 동결했지만, 최종 금리수준에 대해서는 6명 금통위원 모두가 연 3.75%까지 열어놓자는 데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더이상의 금리인상은 없어야 한다"면서 소수의견이 나왔던 지난달과는 분위기가 조금 달라진 것입니다.


<앵커>


금통위원 6명 전원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놓자고 한 것인데요.


다소 내리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물가 상승률 때문이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을 기점으로 매달 떨어지고 있는데요. 지난달에는 3.7%를 나타냈죠.


여기까지만 보면 한국은행이 예상했던 대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근원 소비자물가'가 떨어지는 속도는 예상보다 더디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


근원 물가는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해 크게 출렁이는 품목들, 예를 들면 식품이나 에너지 가격을 뺀 핵심 물가를 의미합니다.


장기적인 물가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조금 더 중요하게 보는 지표인데요.


자료화면을 같이 보시면 2월 4%를 시작으로 꿈쩍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 총재는 "근원물가 추이를 조금 더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연말까지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5% 전망치에 부합할 것으로 보고 있고, 근원 물가상승률은 기존 3.0%로 예상했지만 3.3%로 전망치를 상향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이창용 총재가 금리인상 끝난 것 아니라고 으름장을 놓기는 했지만, 시장은 이제 금리인상 사이클이 끝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건데, 오늘 한은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까지 낮췄습니다.


최근 국내외 기관들이 내놓은 전망들이 1.5%가 대세인데 그보다 낮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한국은행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변화 추이를 보시면요.


2.5%에서 시작해서 점점 낮추더니 1.4%까지 내려왔습니다.


시간이 갈수록, 생각했던 것보다 경제 체력이 더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인데요.


일단 무역적자가 14개월 넘게 이어지면서 올해 누적으로 300억달러 적자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14개월 연속 무역적자는요, 95년~97년 이후로 처음 있는 일입니다.


<앵커>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미미한 것 같습니다.


앞으로 크게 나아질 것 같지 않아 더 걱정인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대중 무역적자는 지난해 10월부터 이달까지 7개월째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 총재 역시 "중국의 경제 회복속도가 예상했던 것보다 느리고, 그나마 회복되고 있는 것도 내수 중심이어서 리오프닝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중국의 소매판매 증감률 자료를 보면 빠르게 회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작년에 코로나 봉쇄 때문에 벌어진 기저효과이고 사실 시장 예상치에는 미치지 못한 수치였습니다.


시장은 당초 2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실제로는 18.4%에 그쳤거든요.


그만큼 회복이 약하다는 뜻입니다.


<앵커>


우리 경제 상황이 이렇다보니 이 총재의 바람과는 달리, 시장은 언제 금리를 내릴 것인가 이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기 언제쯤으로 보고 있습니까?


<기자>


현재로서는 내년 1분기에 인하할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국내외 증권사를 비롯해 금융기관 2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봤는데요.


내년 1분기로 예상한 전문가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요.


그다음이 올해 4분기였습니다.


<앵커>


내년 1분기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은데, 그 이유는 뭡니까?


<기자>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이 12월 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그 가능성만 무려 81%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하지만 한국은행으로서는 한미금리차가 사상 최대(1.75%p)로 벌어져 있기 때문에 미국이 금리를 인하했다고 해서 한국은행이 곧바로 그 기조를 따라가기엔 부담스러운 상황이거든요.


물가가 예상대로 안정화되는지도 거듭 확인해야 하는 만큼, 한국의 금리인하는 미국보다는 조금 더 늦게 이뤄지지 않겠냐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다만, 국내 경기침체 우려 부분에 조금 더 무게를 둔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시점을 올해 4분기로 예상했습니다.


<앵커>


환율도 중요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한 달 넘게 1300원대에 계속 머무르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다 1300원대가 아예 고착화되는 것 아니냐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는데, 어떻습니까?


<기자>


현재 증권가에서는 "한동안 1300~1350원 사이 박스권에서 움직이다가, 연말 정도면 1200원대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게 가능하려면, 미국 연준이 실제로 연내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하고요.


또 중국의 경기 회복도 시장 기대치만큼 올라와줘야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 반도체는 대중수출 비중이 50%를 넘어서기 때문에, 중국 경기가 회복돼야 국내 무역수지 개선도 일정부분 기대해 볼 수가 있습니다.


또 중국 경기가 회복되면 위안화 가치가 올라가면서 덩달아 우리 원화 가치 정상화도 다시 기대를 해볼 수 있게 되는데요.


지난 10년간 원화-위안화 추이를 보면, 오를 때 같이 오르고 또 떨어질 때에는 같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거든요.


중국 경제를 봐야 한다, 중국을 의심해 봐야 한다라는 소리가 바로 이 때문에 나오는 것이고요.


일단 이 총재는 "중국 경제 회복속도가 처음에는 좀 더디게 나타나고 있지만, 앞으로는 그 속도가 조금씩 빨라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워낙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어서 추이는 계속해서 지켜봐야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김보미 기자였습니다.


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

publisher img

블루밍비트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