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플랫폼에서 국가간 거래완료
거래비용 크게 낮춰 수수료 인하될 듯
GPS활용한 스마트계약도 가능
한국은행이 미국 등 기축통화국과 함께 글로벌 디지털 화폐 지급결제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무역결제, 해외 송금 등의 거래 속도를 높이고 스마트 계약을 통해 편의성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은 이런 내용의 ‘아고라 프로젝트’에 한은이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BIS는 토큰화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은행 예금이 하나의 글로벌 플랫폼 내에서 국가간 지급결제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지를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종전까지 한 국가 내에서 CBDC 활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면 이번엔 이를 국가 간 거래로 확장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해외송금 등 국가간 거래를 할 때 각국의 지급결제 시스템을 각각 활용해야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규정이나, 시차 등으로 거래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많이든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단순한 송금도 며칠이 지난 후에야 완료되는 경우가 있었고, 탈세 등 자금세탁 방지 규정이 달라 같은 검증절차를 여러번 반복하는 일도 빈번했다.
BIS는 디지털 화폐 기반의 플랫폼이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세실리아 스킹슬리 BIS 혁신허브국장은 “복잡하게 연결돼있는 국가별 시스템과 회계원장, 각종 정보를 한 데 모아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공통 지급결제 플랫폼을 만들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신현송 BIS 조사국장은 "안전장치를 희생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동일한 규정이 적용되는 플랫폼에서 디지털화폐로 거래가 이뤄질 경우 확인 절차 등이 크게 줄어들면서 거래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윤성관 한은 디지털화폐연구부장은 “기관 간 거래비용이 줄면 소비자들의 송금 수수료 등이 싸질 수 있다”라며 “이메일을 보내듯 간편하고 저렴하게 해외송금이 이뤄질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디지털 화폐 기반의 플랫폼이 개발되면 무역과 관련된 스마트 계약도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중간재를 수입해 완성품을 수출하는 회사의 운전자금을 위성항법장치(GPS) 정보를 반영해 대출하는 과정을 예시로 설명했다.
인도에서 유럽으로 중간재가 넘어오는 경우, 기존에는 중간재가 도착하거나, 최종 수출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담보가치를 거의 인정받지 못했다. 하지만 GPS 정보를 통해 선박이 상대적으로 안전해지는 희망봉을 지났다는 게 확인된 이후엔 은행이 담보가치를 일부 인정해주는 방식으로 거래가 빠르게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유럽연합 대표), 스위스 등 5개 기축통화국과 BIS 총재국인 멕시코까지 총 7개국이 참여한다. 중앙은행 뿐 아니라 국제금융협회(IIF)를 중심으로 민간 기관도 모집한다. 기술검증 단계를 넘어 실제 활용 가능한 '프로토타입'까지 만든다는 계획이다.
윤 부장은 "한국이 기축통화국과 함께 참여하게된 것은 그동안 진행해온 CBDC 연구개발 성과가 인정받은 것"이라며 "무역강국으로서 무역금융에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달라는 취지로 본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한경닷컴 뉴스룸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