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딥시크 랠리'에 찬물 끼얹은 관세 전쟁…먹구름 낀 中 증시

기사출처
한경닷컴 뉴스룸
공유하기
  • '딥시크'로 인한 중국 증시의 상승세가 미중 관세 전쟁으로 인해 꺾이고 있다고 전했다.
  • 트럼프 대통령의 10% 추가 관세 부과 선언으로 중국 증시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글로벌 투자금이 중국에서 빠져나가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5% 경제성장률 사수와 보복 조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중국 증시에 다시 먹구름이 드리웠다. '가성비 인공지능(AI) 딥시크' 효과로 올 들어 랠리를 펼쳤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 다시 중국에 관세 카드를 꺼내들면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최대 연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시작되는 오는 4일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통상 전쟁 양상이 격화하자 가까스로 살아났던 투심이 빠르게 움츠러들고 있다.

지난달 28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보다 1.98% 내린 3320.9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한 주간 총 1.72% 하락했다. 상하이·선전 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지수 역시 전 거래일 대비 1.97% 떨어진 3,890.05에 장을 마쳤다.

딥시크를 계기로 중국 AI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으로 몰려들던 글로벌 투자금이 공개적으로 맞붙은 미·중 무역 갈등에 서둘러 중국 증시를 빠져나가는 모습이다.

실제 중국은 오는 4일 양회 개막을 시작으로 미국에 대대적인 반격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가 "미국이 끝까지 밀어붙인다면 필요한 모든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력한 태도를 보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중국 정부가 올해 5% 경제성장률을 사수해야 하지만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나 자국 산업 보호 정책에 공격적인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한편 오는 8일엔 올 2월 중국의 무역수지가 발표된다. 최근 중국의 수출 증가율은 시장 전망치를 웃돌고 있다. 관세가 더 높아지기 전에 서둘러 수출에 나선 영향이 크다. 또 중국 위안화 환율마저 약세를 띠고 있어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hankyung.com

publisher img

한경닷컴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