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영 "비트코인 수요 하락에도 온체인 탄탄…장기 전망 밝다" [가상자산 투자 인사이트 포럼 2025]
- 주기영 대표는 비트코인 수요 하락에도 불구하고, 온체인 분석을 통해 장기 전망이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 그는 미국의 적극적 행보로 기관 참여가 증가해 시장 안정성에 기여하고 있으며 ETF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매수세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전했다.
- 알트코인에 대해서는 기관 주도로 일부만 상승세를 보이며, 국내 시장은 비트코인 등 주요 자산 중심의 생태계 형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투자 인사이트 포럼 2025
비트코인 수요 꺾였지만
현물 ETF 등 기관 유동성 충분
장기 전망 여전히 긍정적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가상자산 투자 인사이트 포럼 2025'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황두현 블루밍비트 기자
온체인 분석 플랫폼 크립토퀀트(CrpytoQuant)의 주기영 대표가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가상자산 투자 인사이트 포럼 2025'에서 최근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은 여전히 탄탄한 전망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기영 대표는 트럼프 당선 이후 전개된 상승장에 대해 "블록체인은 결제와 정산이 동시에 이뤄지는 자산이기에 모든 데이터를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번 상승장은 △ 기관 내 수요 상승 △ 상장지수펀드(ETF) 수요 상승 등 기관의 명목 수요를 통해 진행됐다"이라고 분석했다.
주 대표는 미국의 적극적인 행보로 인한 기관의 산업 참여로 인해 시장이 더욱 더 탄탄해 지고 있다고 봤다. 그는 "지난해 약 500조원 규모의 자금이 가상자산 시장으로 들어왔으며, 미국의 비트코인 점유율도 급격히 늘어났다. ETF와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매수세도 시장 안정성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최근 수요가 꺾였음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의 장기적 전망은 여전히 밝다고도 언급했다. 주기영 대표는 "최근 ETF, 커스터디 시장의 수요 측면에서 조금은 꺾이는 모습을 볼 수 있지만, 비트코인 해시레이트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채굴 규모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시장 하락 전염 리스크로 인한 대규모 매도가 발생할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장기적 전망은 아직도 밝다"라고 밝혔다.
알트코인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기관으로부터 신규 자금을 끌어올 수 있는 일부 알트코인만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상승이 기관 주도하에 일어났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알트코인으로의 자본 순환이 크게 진행되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 시장도 메이저 에셋을 중심으로 확장되고 있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시장 생태계를 갖춰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기영 대표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지나치게 알트코인 거래에 치우쳐있다. 물론 법인 계좌가 허용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하지만, 이러한 특징 때문에 국내 시장이 해외 프로젝트들의 유동성 창구로 취급받기도 한다. 국내에서도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자산들을 중심으로 건전한 시장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이영민 기자
20min@bloomingbit.ioCrypto Chatterbox_ tlg@Bloomingbit_YMLEE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