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상장도 상장폐지도…기준은 '깜깜이'[코인시장, 이대론 안된다②]
일반 뉴스
블루밍비트 뉴스룸
[앵커]
한국경제TV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 가상자산 시장의 '깜깜이 상장, 깜깜이 상폐'에 대해 살펴봅니다.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지난 1년간 상장폐지한 코인 갯수는 최근 5년 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폐된 종목의 2배에 달합니다.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는 과정에서도 돈만 주면 코인이 상장되는 이른바 '상장 피(fee)' 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인 유통시장을 장악한 거래소에 견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정호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몇년 전부터 가상자산에 투자해온 직장인 A씨.
A씨가 갖고 있던 5천만 원가량의 코인은 하룻밤 새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거래소에서 갑작스레 상장폐지를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A씨/코인 상장폐지 피해자: 말도 없이 상장 폐지를 확정해버리고, 거래가 없으니까 남은 사람들은 뺄 수도 없고…속절 없이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거죠.]
코인 발행사 역시 이유도 모른 채 '깜깜이 상폐'가 이뤄졌다고 토로합니다.
[B씨/상폐 코인 발행사 대표: 저희도 거의 직전에 알았던 것 같아요. (거래소에서) 내려가기 직전에 어떻게 손을 쓰거나 하긴 어려웠습니다. (거래소에서) 자체 판단을 했겠죠? 내부 기준이 아마 있을 것 같은데 저희한테 공개한 적은 없으니까요.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종목이 상장 폐지되기 전, 제시된 기준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와 달리 갑작스레 상폐를 통보받았다는 겁니다.
이는 결국 무분별한 상장폐지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초부터 국내 '빅4' 거래소에서 상폐된 코인은 60개로 지난 5년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된 건수의 2배에 달합니다.
[홍기훈/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무분별한 상장 폐지라는 게 상장 폐지한 (종목의) 숫자의 문제라기보다는 과정의 문제인 것이죠. 도대체 왜 이게 상장 폐지를 당하는 것이며, 도대체 상장 폐지할 때 누가 결정한 것이며, 어떻게 결정한 것인지에 대해 공시가 없다는 것이죠..]
상장 폐지 뿐만 아니라 거래소에 새로운 코인이 상장되는 과정도 '깜깜이'인건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국내 코인 거래소들은 상장 심사위원 구성과 구체적인 상장 기준을 '대외비'라며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거래소에 돈만 내면 상장을 도와준다는 이른바 '상장 피(fee)'는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이준행/고팍스 대표('22년 2월, 알고란TV 인터뷰 中): (상장피를 받은 적이 없다, 있다?) 있어요. (있어요?) 상장피를 계속 못 받다가 운용 비용이 커버가 안되니까…]
[김형중/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지금은 (상장피를) 음성적으로 받기 때문에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거예요. 20억~25억 냈다…]
코인의 생사여탈권을 쥔 거래소의 검증을 투자자가 어느 정도나 신뢰해야 할지 의문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코인 시장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
한국경제TV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 가상자산 시장의 '깜깜이 상장, 깜깜이 상폐'에 대해 살펴봅니다.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지난 1년간 상장폐지한 코인 갯수는 최근 5년 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폐된 종목의 2배에 달합니다.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는 과정에서도 돈만 주면 코인이 상장되는 이른바 '상장 피(fee)' 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인 유통시장을 장악한 거래소에 견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정호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몇년 전부터 가상자산에 투자해온 직장인 A씨.
A씨가 갖고 있던 5천만 원가량의 코인은 하룻밤 새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거래소에서 갑작스레 상장폐지를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A씨/코인 상장폐지 피해자: 말도 없이 상장 폐지를 확정해버리고, 거래가 없으니까 남은 사람들은 뺄 수도 없고…속절 없이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거죠.]
코인 발행사 역시 이유도 모른 채 '깜깜이 상폐'가 이뤄졌다고 토로합니다.
[B씨/상폐 코인 발행사 대표: 저희도 거의 직전에 알았던 것 같아요. (거래소에서) 내려가기 직전에 어떻게 손을 쓰거나 하긴 어려웠습니다. (거래소에서) 자체 판단을 했겠죠? 내부 기준이 아마 있을 것 같은데 저희한테 공개한 적은 없으니까요.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종목이 상장 폐지되기 전, 제시된 기준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와 달리 갑작스레 상폐를 통보받았다는 겁니다.
이는 결국 무분별한 상장폐지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초부터 국내 '빅4' 거래소에서 상폐된 코인은 60개로 지난 5년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된 건수의 2배에 달합니다.
[홍기훈/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무분별한 상장 폐지라는 게 상장 폐지한 (종목의) 숫자의 문제라기보다는 과정의 문제인 것이죠. 도대체 왜 이게 상장 폐지를 당하는 것이며, 도대체 상장 폐지할 때 누가 결정한 것이며, 어떻게 결정한 것인지에 대해 공시가 없다는 것이죠..]
상장 폐지 뿐만 아니라 거래소에 새로운 코인이 상장되는 과정도 '깜깜이'인건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국내 코인 거래소들은 상장 심사위원 구성과 구체적인 상장 기준을 '대외비'라며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거래소에 돈만 내면 상장을 도와준다는 이른바 '상장 피(fee)'는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이준행/고팍스 대표('22년 2월, 알고란TV 인터뷰 中): (상장피를 받은 적이 없다, 있다?) 있어요. (있어요?) 상장피를 계속 못 받다가 운용 비용이 커버가 안되니까…]
[김형중/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지금은 (상장피를) 음성적으로 받기 때문에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거예요. 20억~25억 냈다…]
코인의 생사여탈권을 쥔 거래소의 검증을 투자자가 어느 정도나 신뢰해야 할지 의문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코인 시장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
이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기자 소개
블루밍비트 뉴스룸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세요!
기자 소개
블루밍비트 뉴스룸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