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금리 올려도 고환율에 다시 뛰는 물가…끝없는 '인플레 악순환'

일반 뉴스
authorImg
블루밍비트 뉴스룸
기사출처
물가 악순환…고환율이 밀어올린 수입물가


유가 하락에도 9월 3.3% ↑
1~3개월 뒤 소비자물가 반영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
지난달 수입물가가 3.3%(전월 대비) 오르면서 물가 불안이 다시 커지고 있다. 서울 명동 식당가에 가격 인상을 반영한 가격표가 세워져 있다. /임대철 한경디지털랩 기자

지난달 수입물가가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가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물가를 밀어 올린 것이다. 최근 1400원대 환율이 고착화하면서 고환율이 수입물가를 밀어 올리고 그 결과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9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3.3%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4.1% 올랐다.


전월 대비 수입물가는 국제 유가 하락에 힘입어 지난 7월(-2.6%)과 8월(-0.9%) 연속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달 환율이 뛰면서 3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9월 월평균 환율은 1391원59전으로 전월보다 5.5% 올랐다. 지난달 국제 유가(두바이유 기준)는 5.9% 내렸다. 환율 상승이 국제 유가 하락을 상쇄하며 물가를 끌어올린 것이다. 환율 상승이 없었다면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1.4% 낮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 유가가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물가가 상승했다"고 말했다.


품목별로는 석탄·석유 제품이 전월 대비 2.1% 내렸고, 컴퓨터·전자·광학기기(5.4%)와 농림수산품(4.0%) 등은 올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에너지 가운데 천연가스(LNG)가 13.7% 뛰었다.


수입물가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국내 물가는 더 오를 수 있다. 통상 수입물가는 1~3개월 뒤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한은은 지난 12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며 고환율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을 근거로 제시했다.


환율 치솟으며 수입물가 들썩…소비자물가까지 끌어올려

이달 전기·가스요금도 올라정부의 '10월 물가 정점론'과 달리 고물가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주춤해질 줄 알았던 지난달 수입물가가 고환율 여파로 오히려 큰 폭으로 오르면서다. 지난 9월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3.3% 오르며 3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24.1% 뛰었다. 여기에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러시아 등 모임인 OPEC+의 감산 결정으로 원유 가격이 다시 꿈틀거리고,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심상찮다. 여기에 우유, 철강, 시멘트 가격 등도 줄줄이 오르면서 '물가와의 전쟁'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고환율, '10월 물가 정점론' 위협

최근 물가 불안을 자극하는 변수로 고환율이 떠올랐다. 지난달 수입물가는 국제 유가 하락에도 고환율 여파로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정석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수입물가는 소비자물가에 1개월가량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상당 품목에서 3개월 이내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당장 10월 소비자물가부터 수입물가 급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보다 높은 8.2%(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하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이 11월에 또다시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 경우 한·미 기준금리 역전폭은 0.25%포인트에서 1.0%포인트로 벌어진다.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를 부추길 수 있다. 이는 다시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의 10월 물가정점론은 국제 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이 전제됐던 것"이라며 "환율이 수입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만큼 이달 이후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들썩이는 에너지 가격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도 물가를 부추기는 악재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두바이유 수입 가격은 배럴당 91.19달러였다. 지난달 27일 배럴당 84.25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이달 초부터 90달러대로 올라섰다. OPEC+가 다음달부터 하루 200만 배럴의 원유를 감산하기로 한 여파다. 시장에선 연내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LNG 수입 가격은 지난 8월 t당 1194.59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존 최고치였던 1월(1138.14달러)보다 56.45달러 높다. 1년 전인 지난해 8월(535.02달러)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올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LNG 수급난이 벌어진 결과다. 이승한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에너지 수급 불확실성을 굉장히 중요한 리스크로 보고 있다"고 했다.


이달부터 전기요금이 5.7%(주택용 기준), 가스요금은 15.9% 오른 것도 물가를 자극하는 요인이다.


○원자재 가격, 식탁물가도 불안

원자재 가격도 상승세다. 포스코 포항공장 침수와 현대제철 파업 등으로 철강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후판 가격은 8월 말 t당 115만원에서 9월 말 125만원으로 8.7% 상승했고, 열연강판은 같은 기간 t당 100만원에서 125만원으로 25% 올랐다. 주요 시멘트 업체들은 다음달 15% 안팎 가격을 올리기로 하고 레미콘 업체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 식탁물가도 불안하다. 낙농가와 유업체는 15일까지 원유가격 협상을 마치기로 했다. 원유가격이 오르면 마시는 우유를 비롯해 유제품과 과자 등 가공제품도 줄줄이 오른다.


염명배 충남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당분간 물가가 진정세로 돌아서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조미현/임도원/김소현 기자 mwise@hankyung.com

이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기자 소개

publisher img

블루밍비트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세요!









기자 소개

publisher img

블루밍비트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

시장이 어떻게 될지 예측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