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다시 오르기는 했지만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큰폭으로 하락하면서 1,300원대로 내려 앉았는데요. 이를 두고 환율이 고점을 지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됩니다.
하지만 시장에선 아직 추세적인 하락은 시기상조이며, 미 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끝나기 전까진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의 강한 긴축기조 속에 이달 초까지만 해도 1,400원대를 넘나들던 원·달러 환율.
하지만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미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조절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자,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1,310원선까지 내려왔습니다.
흥국생명 콜옵션 행사 소식에 채권시장이 안정을 찾고, '차이나런(글로벌 투자자금의 중국 이탈 현상)'으로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수가 늘어난 점도 환율 진정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여기에 외환당국이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 투자자에 기존 해외자산의 환헤지 비율을 높여줄 것을 요청하기로 하면서 환율 추가하락에 대한 기대감은 더 커진 분위기.
기관투자가의 환헤지 비율이 높아지면 이들은 은행에 선물환 매도, 즉 특정 시기에 고정된 환율로 달러화를 팔겠다는 계약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은행은 리스크 분산을 위해 외화를 차입하면서 다시 선물환을 시장에 매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달러 공급이 늘어나 원·달러 환율 하락 요인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환율 급락으로 일단 원·달러 환율이 진정국면을 맞으면서 고점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하지만 달러 약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연말까지 늦게는 내년 상반기까지 강달러 현상은 지속될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미 연준의 긴축기조가 현재진행형인데다, 내부적으로는 무역적자 흐름이 이어지는 등 강달러를 부추기는 요인들이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전규연 / 하나증권 연구원: 펀더멘털 때문이라기 보다는 그 외 요인들 때문에 환율이 많이 떨어진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1,400원대로 올라간다고 보여지지는 않지만 연준의 스탠스 자체가 완전히 바뀐 것도 아니다보니 경계감 자체는 다시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연말이나 내년 초까지….]
정부의 기관투자자에 대한 환헤지 요청으로 400억달러 정도가 시장에 공급되는 효과가 예상된다지만, 이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기관투자자 입장에선 환율이 단기에 급락하면서 섣불리 나서기는 애매해진 상황입니다.
[민경원 / 우리은행 애널리스트 : 연기금 같은 기관에서 만기도래, 캐시플로어에 맞춰 환헤지를 하는 거지 전체적인 물량사이즈를 한번에 소화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연기금도 전략적 환헤지를 할텐데, 환율이 이렇게까지 빠지면 공격적으로 할 이유는 없죠.]
오늘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4원 내린 1,316원에 출발했지만 위험선호 심리가 후퇴하면서 7.5원 오른 1,325.9원에 마감했습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블루밍비트 뉴스룸
news@bloomingbit.io뉴스 제보는 news@bloomingbit.io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