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속도조절 신호 뜨자…강달러 주춤
- 미재무장관 '벤트'의 진취적인 관세 정책에 따라 트럼프 무역정책이 주목받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고 전했다.
- 미국 국채 금리는 벤트의 관세 인상 전망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우려를 증가시키면서 상승했다고 밝혔다.
- 트럼프는 첫 임기 중에 외국산 저가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추진한 바 있으며, 벤트 장관이 이러한 방향성을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고 밝혔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美재무장관 지명에 시장 안도
재무장관 지명자 베센트
점진적 관세인상 요구해와
美10년물 국채금리도 하락
재무부 장관 지명 후 인터뷰서
"취임후 감세 공약 우선 이행
달러 기축통화 지위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재무부 장관에 헤지펀드 키스퀘어 창업자인 스콧 베센트를 지명하자 외환·채권시장에서 ‘트럼프 트레이드’가 수그러들었다. 베센트가 점진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화가 약세로 돌아서고 미국 국채 가격은 상승(금리 하락)했다. 다만 그가 지명 후 첫 일성으로 트럼프의 감세 공약 실현과 달러의 기축통화 유지를 언급하고 나선 만큼 트럼프 트레이드를 다시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달러 가치 하락, 국채 가격은 상승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베센트 지명 소식이 전해진 이후 주요 10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블룸버그 달러현물지수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미국 대선 기간인 지난 5일 103.42였던 이 지수는 22일 107.03까지 올랐다가 이날 장 마감 후 베센트 인선이 발표되자 24일 오후 11시30분 106.95로 떨어졌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베센트를 지명한 것은 시장에서 신중한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트럼프의 승리로 과열된 (강달러) 베팅이 완화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인선에 따라 트럼프 2기가 세계 다른 국가의 경제와 통화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도 다소 가라앉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국채 10년 만기 금리는 22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연 4.412%로 장을 마감했지만, 주말이 지나고 아시아 시장이 열리면서 25일 오후 3시 연 4.332%까지 떨어졌다. 베센트가 취임 후 점진적인 관세 인상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누그러든 영향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그는 올해 초 투자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관세 총(gun)은 항상 장전돼 있고 테이블 위에 있지만 거의 발사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베센트 “감세 정책 우선 추진”
베센트는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후 WSJ와 한 첫 언론 인터뷰에서 “취임 후 트럼프 당선인의 다양한 감세 공약을 우선적으로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대선에서 공약한 감세 공약으로는 집권 1기에 시행했던 ‘임시 감세’ 영구화, 팁과 사회보장 혜택, 초과근무 수당에 대한 세금 폐지 등이 있다. 트럼프의 감세 공약은 미국의 재정적자를 심화시켜 미국 국채 금리를 올리는 요인으로 지목받는다.
베센트는 세계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지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당선된 후 달러는 강세를 나타냈다. 그가 추진하는 10~20% 보편관세 도입 등 통상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고, 그 결과 미국 중앙은행(Fed)이 통화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었다. 그러나 베센트가 취임한 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 지위를 내세우면서 강달러 정책을 추진할 경우 달러가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거론된다.
베센트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관세를 부과하고 지출을 줄이는 것에도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베센트는 점진적인 관세 인상을 주장하고 있지만 관세 도입 필요성 자체에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는 지난달 ‘국제 경제 시스템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국가 안보상 관세를 인상하고 다른 국가들이 미국과의 무역 장벽을 낮추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특정 기업에 관세 감면 혜택 줄 수도
일각에선 트럼프 행정부와 좋은 관계를 맺은 기업들은 관세와 관련해 감면 혹은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첫 임기 당시에도 외국산 금속과 기계, 의류, 기타 제품에 보편적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하지만 수입품에 주로 의존하는 기업들의 반발에 직면해 당시 정부는 특별 면제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실제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팀 쿡은 트럼프 1기 때 로비스트나 대관 전담 임원을 통하지 않고 백악관과 직접 소통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애플이 미국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적 지원을 받은 것도 이 같은 쿡 CEO의 노력 때문으로 알려졌다. 2019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일률적으로 10% 관세 부과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아이폰을 제외한 것이 대표적이다.
쿡 CEO는 트럼프 당선인에게 관세가 미국 내 아이폰 소비자 가격 인상을 부를 것이라고 설득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이현일 기자 nyusos@hankyung.com
이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