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PiCK

美 고용 시장, 올해 강한 출발…Fed '금리 인하 신중론' 힘받나

기사출처
한경닷컴 뉴스룸
공유하기
  • 미국 고용 시장이 2025년을 강하게 출발하여 Fed의 금리 인하 신중론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라고 전했다.
  • 1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18만3000건 증가해 전문가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밝혔다.
  • 서비스업이 채용을 주도한 반면, 제조업은 일자리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이 채용 주도, 제조업은 일자리 감소

미국 고용 시장이 2025년을 강하게 출발했다. 이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신중론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5일(현지시간) 민간 고용정보 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에 따르면 1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전월 대비 18만3000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15만 건)을 웃돌았다. 지난해 12월 고용 증가폭도 당초 발표된 12만2000건에서 17만6000건으로 대폭 상향 조정됐다.

최근 6개월 평균 고용 증가 속도는 2023년 초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 Fed의 신중론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노동시장이 "상당히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Fed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4개월 만에 금리 인하 기조를 중단했다.

다만 고용 증가가 모든 산업에서 균등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소비자 대상 서비스업(유통·운송·레저·접객업 등)이 신규 채용을 주도한 반면, 제조업 부문은 일자리가 감소했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25년을 강하게 시작했지만 노동 시장에서는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부 산업별로 보면 무역·운송·공공서비스 부문이 5만6000개의 신규 일자리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레저·접객업 부문이 5만4000개로 그 뒤를 이었다. 교육·보건 서비스 부문에서는 2만 개의 일자리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제조업 부문은 1만3000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ADP 보고서는 오는 7일 발표될 미국 노동통계국(BLS)의 비농업 고용보고서의 선행지표 역할을 한다. BLS 보고서는 ADP와 달리 정부 부문의 고용도 포함한다. 시장 예측에 따르면 BLS 보고서에서 1월 비농업 부문 고용 증가폭은 16만9000개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4.1%에서 유지될 전망이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거시경제
#정책
publisher img

한경닷컴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