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에서 소비 심리 악화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으로 인해 3대 지수가 급락했다고 밝혔다.
- 미국 소비자심리지수의 급락과 기대 인플레이션의 급등이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 투자자들이 경제 성장 우려 속에 방어주로 이동하며 필수소비재 업종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동반 급락했다.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소비 심리 악화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에 투매가 촉발된 영향으로 보인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8.63포인트(1.69%) 급락한 4만3428.02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04.39포인트(1.71%) 떨어진 6013.1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38.36포인트(2.20%) 하락한 1만9524.01에 거래를 마감했다.
미 소비자들의 경제 신뢰도를 반영하는 소비자심리지수가 이달 들어 급락하자 금융시장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4.7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 71.7에서 7포인트나 떨어진 수치다. 또 이달 8일 발표됐던 2월 예비치 67.8과 시장 예상치 67.8을 모두 밑돌았다.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한 점도 시장을 불안하게 했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4.3%로 전월 3.3% 대비 1.0%포인트 급등했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3.5%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인플레이션 불확실성도 급등했다. 1년 불확실성은 전달 7.6%포인트에서 9.5%포인트로, 5~10년 불확실성은 전달 6%포인트에서 8.2%포인트로 각각 높아졌다.
르네상스매크로리서치의 닐 두타 경제 분석 총괄은 "소비자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급등한 것엔 관세가 영향을 미쳤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30년래 최고치로 올랐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서비스업 업황이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위축된 점도 투심을 짓눌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2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49.7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 1월 이후 25개월 만에 처음으로 위축 국면에 들어섰다.
2월 제조업 PMI 예비치는 51.6을 기록하며 8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미국 경제에서 비중이 더 큰 서비스업 업황 둔화에 시장은 더 주목했다.
소비심리가 꺾이자 증시 전반에 투자심리도 급격히 얼어붙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넘게 급락했다. 구성 종목 30개가 모두 내렸고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이 4%대 안팎으로 떨어지면서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거대 기술기업을 일컫는 '매그니피센트7'도 모두 직격탄을 맞았다. 애플은 약보합으로 선방했지만 테슬라는 4% 넘게 밀렸다. 아마존과 알파벳도 2%대,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플랫폼스도 1%대 약세였다.
미국 최대 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케어그룹은 7% 넘게 급락했다. 진료비를 과다 청구하는 방식으로 미국 정부의 메디케어(노년·장애인 사회보장제도) 예산을 챙긴다는 의혹에 법무부가 조사를 시작하자 투매가 나왔다.
미 AI 데이터 분석업체 팔란티어는 이날도 5% 가까이 하락했다. 미국 국방부가 매년 예산을 8%씩 삭감할 수 있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반면 소비 둔화에도 필수소비재는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에 프록터앤드갬블·존슨앤드존슨·코카콜라·맥도날드·펩시코·AT&T·버라이즌은 모두 상승했다.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모더나의 주가도 5% 이상 올랐다. 화이자와 암젠 등 다른 제약사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필수소비재만 1% 올랐고 나머지는 모두 떨어졌다. 임의소비재는 2.77%, 산업은 2.23%, 기술은 2.45% 각각 급락했다. 통신서비스와 에너지, 금융도 1% 이상 떨어졌다.
블루칩데일리트렌드리포트의 래리 텐타렐리 수석 기술 전략가는 "이날 S&P500에서 상위 20개 성과자는 모두 소비재, 유틸리티, 의료건강 등 방어주"라며 "투자자들은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면 종종 방어주로 옮겨간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존 주택 판매도 급감했다. 전미 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기존 주택 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4.9% 감소한 연율 408만채로 집계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다음달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95.5%를 기록했다. 전날 마감 무렵보다 2%포인트 내려간 수치다. 6월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36.0%로 급락했다. 전날 마감 무렵엔 47.2%였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2.55포인트(16.28%) 뛴 18.21을 기록했다.
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

한경닷컴 뉴스룸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