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차단하며, 이는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 금리 정책 결정은 새로운 증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3개월 이내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조건부라고 전했다.
- 재정정책에 대해 이 총재는 추가경정예산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경제 위기를 위한 충분한 재정적 자원이 있다고 밝혔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오는 2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내리는 게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금통위원 전원이 3개월 후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것에 대해 "새로운 증거에 따라 마음을 바꿀 수도 있는 것"이라며 과도한 인하 기대를 차단했다.
이 총재는 6일 일본 도쿄에서 블룸버그와 인터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일본은행(BOJ) 주최로 도쿄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글로벌 금융시스템 위원회(CGFS)와 지급·시장인프라 위원회(CPMI) 전문가 회의 참석차 방일 중이다. 이 총재는 CGFS의 의장을 맡고 있다.
이 총재는 인터뷰에서 재정정책 필요성을 강조했다. 비상계엄으로 위축된 경기의 회복을 위해 15조~2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이 필요하다는 게 이 총재의 생각이다. 이 총재는 "한국 재정당국은 지난 몇년 간 보수적인 재정정책을 유지해왔다"며 경제가 위기를 겪을 때 활용할 수 있는 "더 많은 재정적 자원이 있다"고 짚었다.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해선 "국내에서 더 적극적으로 금리를 내리 않는지에 대해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2월 회의에서 금리를 내릴 것이란 시장의 기대에 대해선 "반드시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했다. 재정정책의 발표 시기와 규모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봤다.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인 전원이 3개월 이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것에 대해선 "'포워드 가이던스'는 조건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증거가 있으면 그 증거에 기반해 마음을 바꿀 수도 있다"며 "그것이 통화정책의 원리"라고 설명했다.
1400원 중반 수준의 환율에 대해선 "뉴노멀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며 "(그렇게 말하면) 특정 환율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라고 말했다. 다만 환율이 중요한 고려 요소라는 점은 인정했다. 그는 "환율이 빠르게 절하되는데 거기에 기름을 붓고 싶지는 않을 것"이라며 "환율을 보겠지만 특정 수준을 타깃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publisher img](/images/default_image.jpg)
한경닷컴 뉴스룸![holderBadge](/images/feed/default_bedge.png)
![holderBadge dark](/images/feed/default_bedge_dark.png)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