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딥시크 포비아' 확산…비트코인까지 덮치나
- "딥시크 포비아"로 인해 한국 정부 및 금융권의 딥시크 차단 조치가 강화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장은 비트코인 급락이 딥시크 때문만은 아니라면서도, 통상 분쟁 시 암호화폐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안수빈 해시드 데이터 리드는 미국이 중국 AI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딥시크 차단' 전방위 확산
통상 분쟁시 암호화폐 시장에 악재
"핵심은 美 규제 움직임"
중국발(發) '딥시크 포비아'로 인해 국내 주요 정부부처가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중국과 통상 마찰이 빚어질 경우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장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는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기획재정부는 차단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은행,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등 금융권도 잇달아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했다.
딥시크 금지령이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는 건 정보 유출 가능성 때문이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역 마찰시 암호화폐 투심 위축
앞서 지난주 암호화폐 시장은 딥시크 쇼크로 한 차례 급락을 겪은 바 있다.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로 부각되면서 엔비디아 등 미 기술주가 폭락, 미 증시와 커플링(동조화)이 높아진 암호화폐 시장도 직격탄을 맞은 것.
다만 김민승 코빗리서치센터장은 "(지난주) 미 증시가 폭락한 건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동결하고 일본이 금리를 2배로 인상한 상황에서 딥시크가 등장하며 발생한 복합적인 현상"이라며 "딥시크와 비트코인 간 직접적 연결성을 찾기는 어려운 만큼 (급락이) 딥시크에만 기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정부 차원의 딥시크 접속 차단이 통상 분쟁으로 번질 경우다. 중국은 외국 기업의 자국 기술 차단에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2019년 미국의 화웨이 제재 당시 중국이 일부 미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제품 유통을 제한하는 등 보복을 단행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무역 마찰이 빚어질 경우 암호화폐 투자심리는 위축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박재경 폴리텍대 정보보안과 교수(가상자산가치평가원 원장)는 "중국이 자국 기술을 금지한 국가에 경제 보복을 가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통상 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 위험자산 회피 심리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AI 에이전트' 영향도 주목
딥시크 금지령 확산세를 눈여겨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은 물론 일본, 대만, 호주, 이탈리아 등도 딥시크 규제에 나섰으며, 유럽연합(EU)도 상황을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수빈 해시드 데이터 리드는 "핵심은 미국의 움직임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주요국의 (딥시크) 금지령에 힘입어 미국이 중국 AI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오픈소스 기반의 딥시크가 AI 에이전트 기반 암호화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안 리드는 "암호화폐 분야 AI는 대부분 오픈소스 기반"이라며 "딥시크로 오픈소스 AI에 대한 인식 전환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안 리드는 "오픈소스 AI의 중요성이 커지면 장기적으로는 AI 에이전트 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준형 기자
gilson@bloomingbit.io블루밍비트 이준형 기자입니다:)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