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PiCK

뉴욕증시, 인플레이션·상호관세에 '휘청'[뉴욕증시 브리핑]

기사출처
한경닷컴 뉴스룸
공유하기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 안팎으로 하락했다고 전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가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소비자 심리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집계되었다고 전했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 안팎으로 하락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서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4.23포인트(0.99%) 떨어진 44,303.4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같은 기간 57.58포인트(0.95%) 내린 6025.99에, 나스닥지수는 268.59포인트(1.36%) 급락한 19,523.4을 기록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이례적으로 급등했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올해 2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67.8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확정치 71.1에서 4.6% 감소했고 시장 예상치 71.1을 밑돈다.

시장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 부분은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다. 2월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4.3%로 전월의 3.3% 대비 1%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며 2개월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한 결과다.

미시간대의 조엔 후 디렉터는 "지난 14년간 1개월 사이에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사례는 5번뿐"이라며 "현재 수치는 팬데믹 이전 수준 2.3~3.%를 크게 상회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 관세 조치는 지수를 더 눌렀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음 주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상호 무역에 대해 회의 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상호 무역이라고 말했지만 맥락상 상호 관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 거대기술 기업 위주로 투매가 나왔다.

애플은 2.40%, 마이크로소프트는 1.46% 떨어졌고 테슬라와 알파벳도 3%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아마존은 전날 장 마감 후 발표된 실적이 호조를 보였으나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치가 실망감을 주면서 4.05% 밀렸다.

상호 관세 부과 움직임에 전통 산업주와 우량주도 투심 악화를 겪었다. 다우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엔비디아와 비자, 코카콜라, 셰브론만 강보합을 보였을 뿐 나머지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임의소비재는 2.52% 급락하며 낙폭이 가장 컸다. 재료와 기술, 통신서비스도 1%대 하락률을 찍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3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은 마감 무렵 8.5%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의 16.0%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04포인트(6.71%) 오른 16.54를 기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거시경제
publisher img

한경닷컴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