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PiCK

환율 장중 다시 1470원대로…2월 금리인하 발목잡나

기사출처
한경닷컴 뉴스룸
공유하기
  • 글로벌 무역전쟁 확산 우려로 환율이 급등하며 한은의 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 위재현 NH선물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언이 원화 매도 심리를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원화 약세가 한미 경제 펀더멘털 차이에 따른 것이라며 금리 인하 전망을 밝혔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2거래일 사이 35원 넘게 급등

무역전쟁 확산 우려에 달러 강세

불황에 인하 전망 우세하지만

고환율 지속땐 한은 고민 커질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원·달러 환율이 급등했다. 글로벌 무역전쟁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 달러화 가치가 강해진 영향으로 분석됐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오후 3시30분 기준)은 전 거래일보다 14원50전 상승(원화 가치 하락)한 1467원20전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지난달 31일 21원40전 오른 것을 감안하면 2거래일 사이 환율이 35원90전 뛴 것이다. 이날 환율은 지난달 13일(1470원80전) 이후 약 3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13원30전 오른 1466원으로 출발해 오전 중 1472원50전까지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이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후 달러화 가치가 오른 영향을 받았다. 원·달러 환율은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일부 반납했다.

위재현 NH선물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뿐 아니라 유럽연합(EU)에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은 위험통화인 원화의 매도심리를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엔화 가치도 이날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지만, 강도는 원화보다 덜했다. 이날 일본 엔화는 달러당 155.35엔으로 0.44%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 폭(1.0%)의 절반에 그쳤다.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44원27전으로 전 거래일 같은 시간 938원98전보다 5원29전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다시 급등하자 오는 25일로 예정된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에 관심이 쏠린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리를 동결하면서 "현재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이나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로 설명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위원은 "환율 변동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 원화 약세는 한미 경제 펀더멘털 차이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며 "한은이 경기 방어에 좀 더 집중해 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거시경제
publisher img

한경닷컴 뉴스룸holderBadgeholderBadge dark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