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오는 10일부터 최고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중국 정부는 미국 대표적 빅테크인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 중국의 관세 및 비관세 보복 조치로 인해 시장이 긴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사진=셔터스톡
미국의 대중 추가관세 10%가 4일(현지시간) 0시부터 발효되면서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오는 10일부터 최고 15%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일 "관세법 등 관련법 기본 원칙에 따라 국무원 승인 아래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미국산 석탄 및 LNG에는 15% 관세를 부과하고 원유, 농기계, 대형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부과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또 미국의 대표적 빅테크인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텅스텐과 같은 핵심광물 수출 유예조치 및 캘빈클라인 모회사에 대한 제재도 결정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미국에 대한 관세·비관세 보복조치에 나서면서 전날 멕시코·캐나다 관세 유예조치로 안도했던 시장은 다시 긴장하고 있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 수입품에 이날부터 부과하려던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했으나 중국에는 이같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오전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통화 후 "방금 셰인바움 대통령이 멕시코-미국 국경에 즉시 1만명 병력을 배치하기로 동의했다"면서 "예상되었던 관세를 1개월 동안 즉시 중단하기로 합의했다"고 트루스소셜에 적었다. 대신 미국도 멕시코로의 고성능 무기 밀매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두 차례에 걸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통화 후 캐나다 수입품에 대한 관세도 1개월 유예한다고 밝혔다. 그는 "캐나다가 13억달러 규모의 국경 계획을 시행할 것이며 펜타닐 책임자를 임명하고 펜타닐 및 자금세탁과 싸울 캐나다-미국 공동 타격부대를 출범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
한경닷컴 뉴스룸
hankyung@bloomingbit.io한국경제 뉴스입니다.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