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events
로고와 STAT 라이브
STAT 라이브

PiCK

상장 하루만 83% 폭등…AI 코인, '딥시크' 파고 넘을까

이준형 기자
공유하기
  • 쿠키다오(COOKIE)는 최근 상장된 후 하루 만에 83.4% 급등하며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의 강세를 보였다.
  •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 섹터는 딥시크 쇼크 이후 직격탄을 맞았으나, 최근 일부 자산은 다시 반등하며 주목받고 있다.
  • 주요국들의 규제 움직임 속에서도 AI와 가상자산의 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성장 지속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된다.
STAT AI 유의사항
  • 인공지능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 기술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급부상 'AI 에이전트'

최근 '딥시크 쇼크'로 급락세

ai16z 등 다시 강세 보여

인공지능(AI) 기반 가상자산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AI 테마 가상자산이 최근 테크 업계를 덮친 '딥시크 파고'를 넘어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 따르면 쿠키다오(COOKIE)는 이날 기준 30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쿠키다오는 지난 10일 빗썸 원화마켓에 상장했다. 상장 당일 쿠키다오는 기준가 235원에서 83.4% 급등한 431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쿠키다오는 약 1400개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덱싱하는 프로젝트로, 지난해 출시됐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에도 상장돼 있다.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7400만달러(약 1070억원) 규모다.

쿠키다오의 국내 원화마켓 상장이 눈길을 끈 건 AI 에이전트 기반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 AI 에이전트는 지난해 가상자산 업계의 최대 화두로 부상했다. AI 에이전트는 기존 AI 봇과 달리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스스로 학습하고 계획해 의사결정을 내리는 소프트웨어(SW)다. ai16z, 버추얼프토토콜(VIRTUAL) 등이 대표적인 AI 에이전트다.

최근 '딥시크 쇼크' 직격탄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은 최근 '딥시크 쇼크'로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을 내놓으며 미국의 AI 주도권에 대한 우려를 키운 결과다. 딥시크 쇼크로 미 기술주가 폭락한 이달 초 ai16z, 버추얼프로토콜 등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 섹터도 급락세를 겪었다.

단 일부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은 이번주 들어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쿠키다오의 경우 이날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일주일 전보다 약 7% 오른 0.2달러선에 거래되고 있다. ai16z의 가격도 일주일 전 대비 약 33% 오른 0.49달러선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 섹터 시가총액은 이날 기준 58억 7400만달러(약 8조 5000억원)에 달한다.

이같은 강세의 배경에는 주요국의 딥시크 규제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 대만 등은 정보 유출 우려로 이미 정부 기관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한국도 최근 이같은 규제 대열에 합류했다. 유럽연합(EU)은 회원국의 개별적인 딥시크 규제 외에도 추가적인 조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I•가상자산 통합, 성장 지속할 것"

업계 인사들이 잇달아 딥시크를 비판하면서 중국산 AI를 둘러싼 불안감이 해소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0일 딥시크 열풍에 대해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허사비스 CEO는 "(딥시크는)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과학적 진보는 없다"며 "(AI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같은 날 "딥시크는 AI 혁명이 아니다"라며 "조만간 딥시크보다 나은 (AI)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AI 에이전트 기반 가상자산 섹터가 꾸준히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가상자산 분석업체 메사리의 세일즈 디렉터 잭 퍼디는 최근 "지난해 핵심 트렌드 중 하나는 AI와 가상자산 생태계의 상호작용"이라며 "올해는 지난해에 기반을 다진 AI 에이전트 산업이 확장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위스 기반 가상자산 은행 시그넘뱅크는 "AI와 가상자산의 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AI 에이전트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다양한 촉매 요인들이 향후 잠재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했다.

#상승세
#분석
#이슈진단
publisher img

이준형 기자holderBadgeholderBadge dark

gilson@bloomingbit.io블루밍비트 이준형 기자입니다:)

뉴스에 대한 의견과 질문을 자유롭게 남겨보세요!

방금 읽은 기사 어떠셨나요?